대한민국이 세계적인 인공지능(AI) 강국으로의 도약을 목표로 하고 있지만, 정작 미래 세대를 길러낼 교육 현장은 준비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2022년 교육부는 2025년부터 중학교, 2026년부터 초등학교에서 코딩 교육을 의무화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디지털 미래에 대비하고 AI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국가적 전략의 일환이었습니다. 하지만 현실의 교실은 여전히 준비가 미흡한 상황입니다.
전문 교원 부족, AI 교육의 가장 큰 걸림돌
AI 교육의 가장 큰 걸림돌은 전문성을 갖춘 교원의 부족입니다. 화요일, 야당인 이정헌 의원실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국내 컴퓨터 교육과가 설치된 대학은 단 9곳에 불과하며, 연간 입학 정원은 총 193명에 그칩니다. 다른 대학의 교원 양성 과정을 모두 포함하더라도 전국적인 연간 배출 인원은 434명으로, 수년간 이어진 정부의 증원 약속에도 불구하고 2021년에 비해 불과 11명 증가한 수치입니다.
이 의원은 “자격을 갖춘 컴퓨터 교사 없이는 AI 인재를 키울 수 없다”고 지적하며, “교원 공급이 학교 현장의 필요를 전혀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실제로 많은 학교에서는 다른 과목 교사에게 AI 수업을 맡기거나, 한 명의 컴퓨터 교사가 최대 10개 학교를 순회하며 수업하는 실정입니다.
챗GPT 시대에 뒤처진 교과서와 부족한 수업 시간
교사가 있더라도 교과서가 시대를 따라가지 못하는 문제도 심각합니다. 현재 사용되는 정보 교과 과정은 챗GPT가 출시되기 이전인 2022년에 개정되었습니다. 이후 생성형 AI가 직장, 학교, 창작 산업 등 사회 전반으로 빠르게 확산되었지만, 교과서는 이를 전혀 반영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서울 마포구의 한 고등학교 교사는 현지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현재 교과서에는 생성형 AI에 대한 내용이 전무하다”며 “데이터 분석이나 회귀 모델 같은 개념을 다루지만, 이는 학생들의 관심사나 그들의 삶을 바꾸고 있는 기술과는 거리가 멀다”고 토로했습니다. 그는 학생들이 “왜 수업 시간에 챗GPT에 대해 배우지 않느냐”고 질문해 교사들이 자체적으로 보충 자료를 만들어야 하는 상황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절대적으로 부족한 수업 시간도 문제입니다. 초등학교에서는 6년간 총 34시간(전체 수업의 0.58%)에 불과하며, 중학교에서는 3년간 68시간(약 2%)이 배정되어 있습니다. 고등학교에서는 정보 과목이 선택 과목이라 아예 수업을 듣지 않는 학생도 있습니다. 국제 교육 자료에 따르면, 영국의 374시간, 일본의 405시간, 중국 베이징의 212시간과 비교하면 현저히 적은 수치입니다.
코딩, 생성형 AI, 윤리… 무엇을 가르쳐야 하나?
이러한 문제들의 기저에는 ‘AI 교육’이 과연 무엇을 의미해야 하는지에 대한 근본적인 혼란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 일부는 코딩 능력 강화를 주장하는 반면, 다른 이들은 데이터 리터러시, 생성형 AI 활용 능력, 또는 윤리 교육이 더 중요하다고 말합니다. 코드를 작성해주는 AI 도구의 등장은 프로그래밍 문법 교육 자체의 실효성에 대한 의문마저 제기하고 있습니다.
고려대학교 컴퓨터학과 김현철 교수는 “단순히 교원 정원을 늘리는 것보다, 미래의 교육자들이 어떤 역량을 가르쳐야 할지 명확히 해야 한다”며 “교원 양성 과정은 코딩 기술뿐만 아니라 AI 윤리와 리터러시를 반드시 통합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정부, 전 국민 AI 리터러시 교육으로 대응 모색
이러한 지적에 대해 정부도 대응에 나섰습니다. 정부는 유아부터 군인, 일반 직장인까지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AI 리터러시 프로그램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기획재정부는 해당 계획을 2026년 예산안에 포함시킬 예정이며, 재원은 금융 및 보험업에 대한 교육세율을 현행 0.5%에서 1%로 인상하여 마련할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연간 약 1조 3천억 원(943 million)의 재원이 확보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More Stories